본문 바로가기
책리뷰

돈은 힘을 가진 인격체다 : 돈을 보는 관점을 바꿔라 - 재테크경제도서 돈의속성 독후감 리뷰(1)

by 제오라이프 2023. 8. 30.
반응형
돈은 인격체와 같다

 

돈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에겐 망신을 주고, 

 

돈을 소중히 대하는 사람에게 붙어있기를 좋아하는 존재입니다.

 

돈은 사람과 같아 자신을 가치 있는 일에 써 줄 때 우리를 위해 가장 열심히 일합니다.

 

가둬놓기만 하려 하지 마시고, 돈이 어디로 새어나가든 말든 관심없어 하지도 마세요.

 

 

복리의 비밀 

 

재테크로 성공하는 방법은 복리의 구조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복리는 원금에 이자를 더하고, 원금에 이자를 더한 것에 이자를 더하고, 그 이자를 더한 것에 또 이자를 더하는 구조에요.

 

세계적인 투자자 워렌 버핏 역시 복리의 힘을 이용하여 부자가 되었으니,

 

복리의 힘을 이해하고 활용할 준비가 되었으면 여러분도 부자가 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의 힘

 

A라는 사람은 매달 일정하게 월급을 받고 1년에 5천을 받습니다.

 

B는 1년에 5천을 벌지만 어떤 달엔 천만원도 넘게 벌고, 어떤 달은 한푼도 벌지 못합니다.

 

둘다 1년의 수입은 똑같지만 둘이 가진 돈의 힘은 달라요.

 

즉 정규적인 수입이 비정규적인 수입보다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수입은 미래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리스크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레버리지를 활용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죠.

 

투자에 있어 미래 예측과 리스크 제어는 굉장히 중요한데, 일정한 수입은 이를 가능하게 만들어줍니다.

 

 

 

돈은 중력을 가지고 있다

 

돈은 중력을 가지고 있어 서로를 끌어당깁니다. 

 

큰 질량을 가질 수록 더 큰 중력을 가지듯이, 돈이 클 수록 더 많은 돈을 끌어당깁니다.

 

1억을 모은다고 가정해 봅시다.

 

처음 1천만원을 모으는 데는 1년이 걸릴겁니다. 

 

두 번째 1천만원을 모으는 데는 1년이 걸리지 않습니다.

 

세 번째 1천만원을 모으는 데는 9개월이면 충분할 겁니다.

 

같은 돈이지만 모으는 속도는 점점 빨라집니다. 

 

왜 그럴까요? 돈이 중력을 가지고 있어 돈이 클 수록 더 많은 돈을 불러오기 때문이죠. 복리의 힘과도 비슷한 이치입니다.

 

 

리스크가 가장 클 때가 가장 적을 때다

 

예전 삼성전자가 국민주식이 되던 시절, 

 

한 아줌마가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어요.

 

"5만원일 땐 쳐다도 안보더니 9만원 한다니까 왜 다 산다고 난리들이야?"

 

우리는 흔히 주식이 떨어질 때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이 올라가면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주식이 떨어질 때는 위험한 순간이 아니라 위험하지 않은 순간입니다. 

 

사람들은 하락하는 주식을 사지 않기 때문에 할인된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기 때문이죠.

 

반대로 주식이 상승한 경우는 위험합니다. 상승했기에 얼마든지 떨어질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투자의 기본은 리스크가 적을 때 투자하는 것입니다.

 

빨리 부자가 되려면 빨리 부자가 되려고 하지 마라

 

빨리 부자가 되려는 욕심이 생기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없습니다.

 

사기를 당하기 쉽고 큰 이익에 쉽게 현혹되고 감정에 따라 투자하게 됩니다.

 

자수성가의 길은 길고 험하다. 20대나 30대에 부자가 된 젊은이도 물론 있겠지만 그들은 극극극소수의 존재에요.

 

40대 50대에 부자가 되어도 늦지 않다. 오히려 더 많은 자산과 노하우를 통해 평생 부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산이익이 여러분의 노동이익보다 많아지는 날이 여러분이 부자가 되는 날이며,

 

그날은 당신의 인생에서 기념일이 될 것입니다.

 

바로 노동으로부터 독립하고 부자가 된 기념일입니다. 

 


돈을 물건이 아닌 하나의 인격체로 생각하여 든 비유들이 굉장히 적절하고 신선하게 다가옵니다.

 

이 책과 비슷한 여러 경제도서가 말하는 핵심은 비슷해요.

 

"자산을 구입하여 자산으로부터 나오는 이익을 늘려라."

"돈의 중요성을 깨닫고 단기투자가 아닌 장기투자를 하라."


실천하는 것은 우리 손에 달렸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