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5 매파? 비둘기파? 무슨 뜻이에요? 경제용어 살펴보기 - 매파 비둘기파 뜻 의미, 매둘기파 제임스 불라드 경제기사를 읽다 보면 매파, 비둘기파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미국 연준에 대한 기사를 읽다보면 많이 나오죠. 경제 기사에 왜 갑자기 새 이름이 나올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매파, 비둘기파는 중앙은행이 돈을 푸는 태도를 말합니다. 매는 알다시피 강인한 이미지를 가진 맹금류이고, 비둘기는 평화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매와 비둘기가 가지고 있는 각각의 의미를 중앙은행의 정책에 대입시킨 것이죠. 중앙은행의 정책은 크게 두 가지이죠. 돈을 푼다, 돈을 회수한다. 어떤 쪽이 매이고 어떤 쪽이 비둘기일까요? 이미지를 대입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돈을 푸는 완화적인 태도를 가지면 '비둘기파'라고 하고, 돈을 긴축하는 태도를 '매파'라고 합니다. 비둘기였다가 갑자기 매로 확 전환되는 것은 뭐라고 할까요? 두루 쓰는 용.. 2023. 9. 24. 미국 우량주와 나스닥은 신일까? 미국 우량주에 대한 의견 : 그래도 경계를 풀지 말자. 미국 대형 성장주는 신일까요? 주식시장이 뜨거웠을 때, 나스닥은 신이라고 칭송받기도 했습니다. 나스닥이 돈을 복사하는 데 왜 안하냐고, 일 왜함? 이라는 말도 있을 정도로요. 미국 대형 성장주는 호경기, 불경기에도 안전한 자산으로 간주됩니다. 1) 물가가 낮은 경우 디플레이션으로 물가가 낮아지면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돈을 풀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 많아진 돈이 차별적 성장을 하는 대형주로 몰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2) 금리가 낮은 경우 앞서 말한 것처럼 금리가 낮아지면 유동성이 많이 공급되고, 차별적 성장세를 가지고 있는 대형주로 돈이 몰리게 되어 대형주는 강한 흐름을 가져갑니다. 3) 물가가 높은 경우 거대한 규모와 플랫폼을 가지고 있어 독점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는 만큼 인플레이션으로 인.. 2023. 9. 23. 집중투자를 주의해야 하는 이유와 애프터 인플레에서 투자하는 방법 :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3) 인플레이션의 역사를 되돌아 보며 집중투자의 위험성을 살펴봅시다. 1970년대의 엄청난 인플레이션 2차세계대전이 끝나고 세계는 유례없는 호황을 맞았습니다. 전쟁 복구 수요와 전쟁 후의 소비가 함께 맞물려 강한 경제 성장이 나타났고 물가는 안정되어 있었죠. 1960년대까지는 물가가 안정되어 있었던 만큼 미국 금리는 낮았습니다. 1970년대 초 금본위제가 폐지되기 이전까지는 달러를 금에 기반하여 발행했어요. 베트남전쟁 이후 미국은 경제 침체에 빠졌고, 해외 투자자들이 달러보다 금을 선호하면서 달러를 금으로 바꿔 빼가려는 모습이 뚜렷했습니다. 미국에서 금이 빠져나가면 금이 빠져나간 만큼 돈을 발행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전쟁 때문에 돈이 많이 필요했던 미국은 금본위제도를 폐지하였습니다. 금 보유량과 상관없이 달.. 2023. 9. 22. 오랜 시간 잠들어있던 인플레이션이 다시 깨어난 이유, 공급망 이슈와 연준의 금리 인상 이유-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2) 디플레이션에 빠져있던 세계 글로벌 금융위기 후 경제침체에 빠진 세계는 어떻게든 물가 상승을 위해 노력했었습니다. 일본 버블이 붕괴된 이후 일본이 디플레이션에 빠져 잃어버린 30년을 보낸 것을 보고 디플레이션을 경계하게 되었기 때문이죠. 또한 성장은 물가 상승을 동반하기 때문에 물가 상승을 이끌어내면 성장도 따라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을 위해 돈 풀기 정책을 계속 사용했지만 역부족이었습니다. 일본도 아베노믹스를 필두로 무제한 양적완화에 나섰지만 아직 인플레이션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계속되어 온 디플레이션이었는데, 왜 지금 인플레이션이 부활했을까요? 과도한 부양책 정답은 바로 과도한 부양책 때문입니다. 디플레이션을 구덩이라고 생각해 봅시다. 적절한 인.. 2023. 9. 20.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뜻과 의미를 한 번에 알려드립니다-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1) 투자에 앞서, 우리는 거시경제에 대해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많은 상황 변화가 만들어내는 경제 변화는 자산시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금리 변동,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같은 여러 굵직한 이벤트는 경제시장에 큰 영향을 줍니다. 우리는 이것이 경제에 주는 영향을 주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 전의 경제와 코로나 이후의 경제가 완전히 다른 것처럼 말이죠. 최근 이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로 인한 양적완화 등이 발생시킨 인플레이션입니다. 과연 인플레이션이 무엇이고 우리는 인플레이션을 왜 대비해야 할까요? 인플레이션은 정상일까? 인플레이션이 주목받는 이유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 10여년 이상 물가가 뚜렷하게 올랐던 현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한동안 집을 나갔던 인플레이.. 2023. 9.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