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9

집중투자를 주의해야 하는 이유와 애프터 인플레에서 투자하는 방법 :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3) 인플레이션의 역사를 되돌아 보며 집중투자의 위험성을 살펴봅시다. 1970년대의 엄청난 인플레이션 2차세계대전이 끝나고 세계는 유례없는 호황을 맞았습니다. 전쟁 복구 수요와 전쟁 후의 소비가 함께 맞물려 강한 경제 성장이 나타났고 물가는 안정되어 있었죠. 1960년대까지는 물가가 안정되어 있었던 만큼 미국 금리는 낮았습니다. 1970년대 초 금본위제가 폐지되기 이전까지는 달러를 금에 기반하여 발행했어요. 베트남전쟁 이후 미국은 경제 침체에 빠졌고, 해외 투자자들이 달러보다 금을 선호하면서 달러를 금으로 바꿔 빼가려는 모습이 뚜렷했습니다. 미국에서 금이 빠져나가면 금이 빠져나간 만큼 돈을 발행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전쟁 때문에 돈이 많이 필요했던 미국은 금본위제도를 폐지하였습니다. 금 보유량과 상관없이 달.. 2023. 9. 22.
오랜 시간 잠들어있던 인플레이션이 다시 깨어난 이유, 공급망 이슈와 연준의 금리 인상 이유-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2) 디플레이션에 빠져있던 세계 글로벌 금융위기 후 경제침체에 빠진 세계는 어떻게든 물가 상승을 위해 노력했었습니다. 일본 버블이 붕괴된 이후 일본이 디플레이션에 빠져 잃어버린 30년을 보낸 것을 보고 디플레이션을 경계하게 되었기 때문이죠. 또한 성장은 물가 상승을 동반하기 때문에 물가 상승을 이끌어내면 성장도 따라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을 위해 돈 풀기 정책을 계속 사용했지만 역부족이었습니다. 일본도 아베노믹스를 필두로 무제한 양적완화에 나섰지만 아직 인플레이션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계속되어 온 디플레이션이었는데, 왜 지금 인플레이션이 부활했을까요? 과도한 부양책 정답은 바로 과도한 부양책 때문입니다. 디플레이션을 구덩이라고 생각해 봅시다. 적절한 인.. 2023. 9. 20.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뜻과 의미를 한 번에 알려드립니다-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1) 투자에 앞서, 우리는 거시경제에 대해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많은 상황 변화가 만들어내는 경제 변화는 자산시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금리 변동,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같은 여러 굵직한 이벤트는 경제시장에 큰 영향을 줍니다. 우리는 이것이 경제에 주는 영향을 주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 전의 경제와 코로나 이후의 경제가 완전히 다른 것처럼 말이죠. 최근 이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로 인한 양적완화 등이 발생시킨 인플레이션입니다. 과연 인플레이션이 무엇이고 우리는 인플레이션을 왜 대비해야 할까요? 인플레이션은 정상일까? 인플레이션이 주목받는 이유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 10여년 이상 물가가 뚜렷하게 올랐던 현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한동안 집을 나갔던 인플레이.. 2023. 9. 19.
돈은 힘을 가진 인격체다 : 돈을 보는 관점을 바꿔라 - 재테크경제도서 돈의속성 독후감 리뷰(1) 돈은 인격체와 같다 돈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에겐 망신을 주고, 돈을 소중히 대하는 사람에게 붙어있기를 좋아하는 존재입니다. 돈은 사람과 같아 자신을 가치 있는 일에 써 줄 때 우리를 위해 가장 열심히 일합니다. 가둬놓기만 하려 하지 마시고, 돈이 어디로 새어나가든 말든 관심없어 하지도 마세요. 복리의 비밀 재테크로 성공하는 방법은 복리의 구조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복리는 원금에 이자를 더하고, 원금에 이자를 더한 것에 이자를 더하고, 그 이자를 더한 것에 또 이자를 더하는 구조에요. 세계적인 투자자 워렌 버핏 역시 복리의 힘을 이용하여 부자가 되었으니, 복리의 힘을 이해하고 활용할 준비가 되었으면 여러분도 부자가 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의 힘 A라는 사람은 매달 일정하게 월급을 받고.. 2023. 8. 30.
코로나 이후의 경제 시나리오 4가지 : 포스트코로나를 대비하라 - 부의 시나리오(4) 시나리오1- 고성장,고물가 고성장,고물가 시대에는 성장이 강하게 나옵니다. 경제 성장이 강해지면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사람들의 소비가 늘어나며 기업들이 소비 수요를 맞추기 위해 투자를 확대합니다.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돈을 빌리면서 금리가 상승하죠. 금리가 상승하면 피해를 입는 자산은 무엇이었죠? 바로 채권입니다. 투자할 수 있는 자산에는 채권과 주식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석유, 원자재와 같은 대체자산이라는 게 있습니다. 고성장, 고물가의 시대에는 원자재에 대한 수요도 많기 때문에 원자재 투자 재미도 쏠쏠합니다. 물가가 올라가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대체자산인 금 가격은 강세를 보입니다. 실제로 2004년부터 2008년 CRB인덱스와 국제유가 그래프를 보면 고성장,고물가 국면에서 .. 2023. 8. 12.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의미, 디플레이션을 극복하는 방법 - 부의 시나리오(3)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무엇이 좋을까? 인플레이션 : 물가 상승 -> 화폐가치의 하락 디플레이션 : 물가 하락 -> 화폐가치의 상승 인플레이션에는 좋은 인플레이션과 나쁜 인플레이션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원인에 따라 좋고 나쁨이 갈립니다. 소득이 늘어나면 경기가 좋아지고 수요가 늘어납니다. 소비가 많아지면서 물가가 높아지고, 기업의 이익이 증가하면서 기업은 소비 수요를 맞추기 위해 설비를 투자하고 고용을 늘립니다. 고용이 늘어나면 소득이 늘어나면서 선순환이 반복됩니다. 이렇게 경기가 좋아서 수요가 증가했기에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을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이는 좋은 인플레이션이죠. 반면에 나쁜 인플레이션의 사례를 살펴봅시다. 특정 국가에서 자본 유출이 발생하면 외국인들이 해당 국가의.. 2023. 8.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