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대화를위한넓고얕은지식13 보수와 진보의 차이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1 : 파트3 정치 리뷰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1 파트 3은 정치에 대해 다룬다. 우리는 생산수단의 변화가 역사를 흐름을 이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정부의 개입과 시장의 자유 정도에 따라 경제체제가 변화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경제체제를 이해하여야 정치를 이해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정치란 '경제체제를 무엇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이기 때문이다. 보수와 진보의 이론적 구분 우리는 흔히 보수-안정 , 진보-변화추구로 알고 있다. 어느 정도 맞는 이야기지만, 다소 주관적인 개념이니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자. 당신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관이 안정적이라 생각하는가? 불안정하다 생각하는가? 세계관이 안정적이라면 사회 문제는 개인의 책임일 것이다. 세계관이 불안정하다면 사회 문제는 사회의 책임일 것이다. 그렇다면.. 2023. 3. 22.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현실편) : 파트2 경제 리뷰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1 파트1 역사에 이은 파트2 경제 파트 리뷰다. 역사를 이야기할 때 우리는 그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대가 구분된다고 생각했지만, 역사에서 시대를 구분하는 데는 경제체제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역사에 흐름에서 현대 시대를 지배하고 있는 자본주의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이야기한다. 네 개의 경제체제 현대 시대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 경제 체제는 4가지이다. 1.초기 자본주의 2.후기 자본주의 3.신자유주의 4.공산주의(사회주의) 이 체제들은 '정부의 시장 개입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시장의 자유와 정부의 개입 경제 정책은 크게 두 가지가 가능하다. 1.시장의 자유 추구, 정부의 개입 최소화 반대로 2.시장의 자유 축소, 정부의 개입 강화 1번의 경우 걷어들이는 .. 2023. 3. 21.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현실편) : 파트1 역사 리뷰 3월에 읽을 책으로는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1 을 선택하였다. 책을 선정할 때 책 제목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정말 제목을 잘 지은 것 같다. 마치 지적 대화를 원하는 교양인들은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도서처럼 들린다. 책을 펴보기 전에는 각 파트별로 잡지식들을 이야기해주는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책을 중간까지 읽은 지금은 현실세계에서 일어난 인류의 시간적 흐름을 책 한권으로 요약하는 책인 것 같다. 이 책은 현실 세계를 조금 더 이해하기 위한 역사,경제,정치,사회,윤리적 지식을 개별 사건이 아닌 하나의 흐름에 맞추어 설명한다. 이 책의 개별적 개념들은 우리가 학교에서, 신문에서 이미 배운 내용들이다. 하지만 이 책의 정말 대단한 점은 이러한 개별적 사실에 초점을 맞.. 2023. 3.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