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건영3

집중투자를 주의해야 하는 이유와 애프터 인플레에서 투자하는 방법 :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3) 인플레이션의 역사를 되돌아 보며 집중투자의 위험성을 살펴봅시다. 1970년대의 엄청난 인플레이션 2차세계대전이 끝나고 세계는 유례없는 호황을 맞았습니다. 전쟁 복구 수요와 전쟁 후의 소비가 함께 맞물려 강한 경제 성장이 나타났고 물가는 안정되어 있었죠. 1960년대까지는 물가가 안정되어 있었던 만큼 미국 금리는 낮았습니다. 1970년대 초 금본위제가 폐지되기 이전까지는 달러를 금에 기반하여 발행했어요. 베트남전쟁 이후 미국은 경제 침체에 빠졌고, 해외 투자자들이 달러보다 금을 선호하면서 달러를 금으로 바꿔 빼가려는 모습이 뚜렷했습니다. 미국에서 금이 빠져나가면 금이 빠져나간 만큼 돈을 발행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전쟁 때문에 돈이 많이 필요했던 미국은 금본위제도를 폐지하였습니다. 금 보유량과 상관없이 달.. 2023. 9. 22.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의미, 디플레이션을 극복하는 방법 - 부의 시나리오(3)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무엇이 좋을까? 인플레이션 : 물가 상승 -> 화폐가치의 하락 디플레이션 : 물가 하락 -> 화폐가치의 상승 인플레이션에는 좋은 인플레이션과 나쁜 인플레이션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원인에 따라 좋고 나쁨이 갈립니다. 소득이 늘어나면 경기가 좋아지고 수요가 늘어납니다. 소비가 많아지면서 물가가 높아지고, 기업의 이익이 증가하면서 기업은 소비 수요를 맞추기 위해 설비를 투자하고 고용을 늘립니다. 고용이 늘어나면 소득이 늘어나면서 선순환이 반복됩니다. 이렇게 경기가 좋아서 수요가 증가했기에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을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이는 좋은 인플레이션이죠. 반면에 나쁜 인플레이션의 사례를 살펴봅시다. 특정 국가에서 자본 유출이 발생하면 외국인들이 해당 국가의.. 2023. 8. 9.
경제공부의 기초 : 금리, 환율, 채권, 국채, 회사채의 개념과 관계를 이해해보자 - 부의 시나리오(0) 최근 경제공부에 관심이 많아 경제도서을 많이 읽고 있다. 그 중 굉장히 흥미롭게 읽은 오건영 저자의 부의 시나리오를 소개하고자 한다. 코로나 이후로 주식과 부동산이 떡상하면서 경제에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된 사람 중 한명으로서, 포스트코로나를 대비한 투자전략 및 과거로부터 지금까지의 경제흐름을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아주 재밌게 읽은 책이다. 이 책의 0번째 장, 기초 다지기에서는 경제를 이야기할 때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금리, 환율, 채권, 국채, 회사채의 개념을 알려준다. 금리와 환율 아무리 경제를 잘 몰라도 공급과 수요의 법칙은 알고 있을 것이다. 공급과 수요의 법칙은 물건에만 적용되는 게 아니라 돈에도 적용이 된다. 금리와 환율은 공급과 수요가 결정하는데, 쉽게 말해 금리와 환율은 '돈의 값.. 2023. 8.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