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3 교사 월급 교육공무원 봉급표 유치원 초등교사 중학교 교사 고등학교 교사 연봉 교사 9호봉 시작 이유

by 제오라이프 2023. 8. 18.
반응형

우리가 직업을 선택하고 고려할 때 가장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연봉이겠죠.

 

많은 연봉을 받는 직업은 항상 인기가 많습니다.

 

박봉에 구시대적인 공무원 문화, 폐쇄적인 사회, 일관적이지 않은 정책으로 인한 혼란 등

예전보다 메리트가 많이 사라진 공무원이지만 정년이 보장된다는 점 하나는 여전히 메리트가 있습니다.

정년이 보장됨으로써 인생 설계에 있어 도움이 된다는 점은 확실합니다.

 


교사는 교육공무원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공교육을 책임지는 공무원이기 때문이죠.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직 공무원, 군인, 우정직, 경찰과 같은 공무원과는 다르게 교육공무원은 계급이 없습니다.

일반직 공무원들은 9급에서 8급, 8급에서 7급. 이런 식으로 승진합니다.

 

경찰은 순경에서 경장, 경장에서 경사, 경사에서 경위로 진급하죠.

 

하지만 교육공무원은 별도의 계급이 없습니다.

 

신규 임용된 1년차 교사와 정년을 앞둔 35년차 교사의 계급은 '교사'로 같은 것이죠.

 

이 때문에 신규 교사에게 과도한 업무가 주어지고, 정년을 앞둔 교사에겐 배려 차원으로 비교적 쉬운 업무가 주어지는

 

불합리한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 것도 이 때문이죠.

 

교사는 교감으로 승진하고, 교감에서 교장으로 승진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교감,교장)으로 승진하지 않은 교사들은 모두 계급이 같기 때문에 호봉의 차이를 제외하곤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4년제 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임용고시를 거쳐 교사가 되면 9호봉으로 시작합니다.

 

왜 다른 공무원과 달리 교사들만 9호봉으로 시작하는지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일부 사람들은 교사를 특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교대 1학기당 1호봉을 쳐 주기 때문이다.

 

교대나 사범대를 졸업하면 9호봉을 쳐준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교사가 9호봉으로 시작하는 이유

1. 과거에는 다양한 자격(2년제 교육대학, 3년제 사범학교, 4년제 대학, 임시교원양성소 등)으로 교사가 될 수 있었다.
2.  교원 임용제도가 일원화되었지만 아직 현직에는 다양한 루트로 교사가 재직중이다.
3.  다양한 자격의 교사들을 하나의 호봉제로 묶으려 하다보니 이렇게 되었다.

 

현재는 교원양성과정이 예전만큼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호봉표는 개편의 필요성이 있어보입니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루트인 교육대학교 혹은 사범대 졸업 후 2급 정교사 자격증을 획득한 후, 

 

임용고시를 통과하여 교육공무원이 된다면 9호봉으로 시작합니다.

 

즉 9호봉이 실질적으로 1호봉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현재 교육공무원을 1호봉으로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니까요.

 

2023년도 교육공무원 봉급표입니다.

 

1년차 교사 본봉은 2,152,400원이네요.

 

300만원을 넘기려면 10년은 기다려야 합니다.

 

그러면 교육공무원은 일반직 공무원으로 치면 몇 급 정도의 월급을 받을까요?


 

1년차 봉급을 비교해보면 교육공무원 9호봉이 7급 3호봉과 비슷합니다.

 

10년차 봉급을 비교해보면 6급보다는 낮고 7급보다는 높네요.

 

다른 직종이기에 단순비교하는게 의미가 없으나, 재미삼아 비교해보면 위와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교육공무원 호봉표, 교사 월급과 교사가 9호봉으로 시작하는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댓글과 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